신경망 (Neural Network)과 활성화 함수 (Activation Function)
25 Feb 2020 | Deep-Learning
Neural Network
퍼셉트론(Perceptron)에서는 게이트를 만들어 주기 위해서 게이트 마다의 가중치를 직접 입력해주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목적은 가중치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에 가장 잘 맞는 가중치를 자동으로 찾도록 하는 것이지요. 신경망(Neural Net)은 퍼셉트론을 쌓아올려 알아서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입니다.
신경망의 구조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이미지 출처 : kdnuggets.com
단층 퍼셉트론의 수식을 다시 떠올려 보겠습니다. 아래는 2개의 입력값 $(x_1, x_2)$을 받는 퍼셉트론을 수식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w_1, w_2)$는 각 입력값에 곱해지는 가중치이며 $b$ 는 편향(bias)입니다.
\[y = \begin{cases} 0 \qquad (b + w_1x_1 + w_2x_2 \leq 0) \\
1 \qquad (b + w_1x_1 + w_2x_2 > 0) \end{cases}\]
위 식을 퍼셉트론의 결과를 나타내는 함수 $h(x)$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y = h(b + w_1x_1 + w_2x_2) \\
h(x) = \begin{cases} 0 \qquad (x \leq 0) \\
1 \qquad (x > 0) \end{cases}\]
여기서 $h(x)$는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라고 합니다. 활성화 함수는 가중치가 곱해진 신호의 총합이 활성화를 일으키는지, 즉 임곗값을 넘는지를 판단하게 됩니다. 임계값을 넘으면 $1$ 을, 그보다 작으면 $0$ 을 나타내게 되지요. 아래는 이 과정을 나타낸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 i2tutorials.com
Activation Function
그렇다면 활성화 함수는 어떤 것들이 있고 왜 이렇게 생기게 되었는 지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Step Function
활성화 함수는 신경망의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활성화 함수는 계단 함수(Step function)라고 합니다. 계단 함수는 위에서 살펴본 $h(x)$ 와 같이 행동합니다. 입력값의 합이 임계값을 넘으면 $0$ 을, 넘지 못하면 $1$ 을 출력하게 됩니다. 이에 따른 계단 함수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생겼습니다.
이미지 출처 : wikipedia - Heaviside step function
계단 함수는 활성화 함수의 조건을 가장 잘 만족하는 함수이고 직관적으로도 이해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두 가지 단점 때문에 실제 신경망에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첫 번째 단점은 불연속(Discontinuous)입니다.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 임계값 지점에서 불연속점을 갖게 되는데 이 점에서 미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학습이 필요한 신경망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두 번째 단점은 다른 지점에서 미분값이 $0$이 된다는 점입니다. 추후 역전파 과정에서 미분값을 통해 학습을 하게 되는데 이 값이 0이 되어버리면 제대로 된 학습이 안되지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등장한 것이 시그모이드 함수(Sigmoid)입니다.
Sigmoid Function
시그모이드 함수는 기본적으로 $S$ 모양을 그리는 곡선 함수를 통칭하여 부르는 말입니다. 이 중 대표적인 함수는 로지스틱(Logistic) 함수와 하이퍼탄젠트(Hyper tangent, $\tanh$) 함수가 있습니다. 두 함수의 수식과 그래프를 보며 시그모이드 함수와 계단 함수가 다른 점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로지스틱 함수(Logistic Function)
\[\text{Logistic} : \frac{1}{1+e^{-x}}\]
이미지 출처 : wikipedia - Logistic function
하이퍼탄젠트 함수(Hypertangent Function)
\[\text{Hypertangent} : \frac{e^x-e^{-x}}{e^x+e^{-x}} = \frac{e^{2x}-1}{e^{2x}+1}\]
이미지 출처 : mathworld.wolfram.com
두 함수는 모두 연속함수입니다. 계단 함수의 치명적인 단점이었던 불연속을 해결했지요. 계단 함수와 시그모이드 함수의 중요한 공통점은 비선형 함수(Non-linear)라는 점입니다.
활성화 함수는 비선형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활성화 함수가 선형 함수이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선형인 활성화 함수 $l(x) = ax + b$ 가 있다고 해보겠습니다. 이 함수를 사용하여 3개의 층을 쌓는다면 최종적인 활성화 함수는 $l(l(l(x))) = l^3(x) = a(a(ax+b)+b)+b = a^3x+a^2b+ab+b$가 됩니다. $a^3 = c, d = a^2b+ab+b$라고 하면 $l^3(x) = cx+d$로 여전히 같은 형태의 함수를 사용하게 됩니다. 층을 아무리 깊게 쌓아도 여러 층을 쌓는 이점을 살리지 못하게 되지요. 여러 층을 쌓을 때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지요.
ReLU Function
시그모이드 함수는 불연속이라는 계단 함수의 한 가지 단점을 해결했습니다. 하지만 나머지 단점 하나는 해결하지 못했습니다. 시그모이드도 여전히 대부분의 점에서 기울기 값이 0이 되지요. 이 때문에 기울기 소실(Gradient vanishing)이라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기울기 소실은 시그모이드 함수를 활성화 함수로 사용하여 층을 깊게 쌓았을 때 학습이 잘 되지 않는 현상입니다. 이런 현상이 왜 발생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로지스틱 함수 $L(x)$를 미분한 함수 $L^\prime(x)$ 의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L^\prime(x) = \bigg(\frac{1}{1+e^{-x}}\bigg)^\prime = \frac{e^x}{(1+e^{-x})^2}\]
위 함수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 최댓값이 $0.25$ 밖에 되지 않고 $x<-5, x>5$ 범위에서는 거의 $0$ 에 가깝습니다. 역전파(Back propagation) 과정에서는 미분값을 사용하여 학습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값이 0에 가까워 지면 정보가 유실되면서 학습이 잘 안되게 됩니다. 특히 층을 깊게 쌓을 경우에는 정보가 모두 유실되는 사태가 발생하게 되지요.
그렇다면 하이퍼탄젠트 함수는 어떻게 될까요? 하이퍼탄젠트 함수 $\tanh$를 미분한 함수의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anh^\prime(x) = \bigg(\frac{e^x-e^{-x}}{e^x+e^{-x}}\bigg)^\prime = \frac{4e^{2x}}{(1+e^{2x})^2}\]
위 함수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하이퍼탄젠트 함수를 미분한 함수의 최댓값은 $1$ 입니다. 최댓값이 $0.25$ 밖에 안되었던 로지스틱 함수 보다는 정보를 잘 전달하게 되지요. 하지만 여전히 $x$ 가 0에서 멀어질수록 원래 함수의 미분값은 0에 가까워집니다. 그래서 하이퍼탄젠트 함수를 활성화 함수로 하더라도 퍼셉트론을 여러 층으로 쌓는다면 학습이 제대로 안되게 되지요. 이렇게 시그모이드 함수를 활성화 함수로 사용할 때 역전파시 학습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현상을 기울기 소실이라고 합니다.
기울기 소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등장한 함수가 바로 ReLU(Rectified Linear Unit)함수입니다. ReLU함수는 입력값이 0보다 작을 경우에는 0을 반환하고, 0보다 클 경우에는 입력값을 그대로 반환합니다. 아래는 ReLU함수를 수식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h(x) = \begin{cases} 0 \qquad (x \leq 0) \\
x \qquad (x > 0) \end{cases}\)
아래는 ReLU함수의 그래프를 나타낸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 medium.com
ReLU함수는 $x$ 가 $0$ 보다 클 때, 미분값이 항상 $1$ 입니다. 그래서 층이 아무리 깊어져도 손실없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미분값이 항상 $0$과 $1$ 이기 때문에 연산이 빠르다는 점도 ReLU함수의 장점입니다. 덕분에 ReLU함수는 은닉층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활성화 함수가 되었습니다. 물론 ReLU함수에게도 문제가 있습니다. 0이하의 값이 그대로 보존되지 않고 버려진다는 것이지요. 이를 보완하기 위해 Leaky ReLU함수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Leaky ReLU 함수 $h_\text{Leaky}(x)$의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h_\text{Leaky}(x) = \begin{cases} ax \qquad (x \leq 0) \\
x \qquad (x > 0) \end{cases}\]
일반적으로는 $a=0.01$을 사용하며 그래프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미지 출처 : medium.com
Softmax
은닉층(Hidden Layer)의 활성화 함수로는 일반적으로 ReLU함수 혹은 Leaky ReLU와 같은 ReLU함수를 변형한 함수가 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출력층의 활성화 함수는 우리가 하고자 하는 작업에 맞게 조정해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회귀( Regression), 즉 연속형 변수에 대한 예측값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출력층의 활성화 함수로 항등함수 $h_\text{reg}(x) = x$ 를 사용합니다.
이진 분류의 경우에는 입력값을 받아 $0$ 혹은 $1$ 의 값을 출력하는 것이므로 주로 로지스틱 함수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인스턴스를 다중 레이블로 분류하는 경우에는 어떤 활성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이런 질문에 대한 답으로 나온 것이 바로 소프트맥스(Softmax) 함수입니다. 소프트맥스 함수는 이진 분류에서 사용하는 로지스틱 함수를 다중 분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화한 함수입니다. 소프트맥스의 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y_k = \frac{\exp(a_k)}{\sum^n_{i=1}\exp(a_i)}\]
소프트맥스도 함수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소프트맥스 함수가 지수함수이기 때문에 $a$ 값이 커지게 되면 $\exp(a)$ 값이 매우 커지게 됩니다. __int32
가 최대로 나타낼 수 있는 숫자는 $2,147,483,647$ 인데 $a = 22$ 만 되더라도 표현할 수 있는 값 이상이 되어 오버플로(Overflow)현상이 발생합니다. 또한 부동소수점 표기 특성상, 작은 숫자를 큰 값으로 나누면 수치가 불안정해지는 문제 역시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제로 소프트맥스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수 $C$를 곱해주어 스케일을 조정해주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실제로 구현되어 있는 소프트맥스 함수의 수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begin{aligned}
y_k &= \frac{\exp(a_k)}{\sum^n_{i=1}\exp(a_i)} = \frac{C\exp(a_k)}{C\sum^n_{i=1}\exp(a_i)} \\
&= \frac{\exp(a_k +\log C)}{\sum^n_{i=1}\exp(a_i + \log C)} \\
&= \frac{\exp(a_k +C^\prime)}{\sum^n_{i=1}\exp(a_i + C^\prime)}
\end{aligned}\]
위 식에서 $C^\prime = \log C$로, $C^\prime$에는 0보다 작은 값이면 어떤 값을 대입하든 상관 없지만 오버플로를 막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a_i {i=1, \cdots ,n}$ 중 가장 큰 값에 $-1$ 을 곱해준 값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a_i = [1000, 1050, 1100]$이면 $C^\prime = -1100$ 이 됩니다.
소프트맥스 함수의 출력값은 항상 $[0,1]$ 범위 내에 있으며 모든 출력값을 더한 값이 1이 된다는, 즉 $\sum^n_{i=1}y_i = 1$ 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런 성질 덕분에 소프트맥스의 출력값을 확률(Probability)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중 레이블에 대한 확률이 필요한 경우 소프트맥스 함수를 사용합니다.
Neural Network
퍼셉트론(Perceptron)에서는 게이트를 만들어 주기 위해서 게이트 마다의 가중치를 직접 입력해주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목적은 가중치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에 가장 잘 맞는 가중치를 자동으로 찾도록 하는 것이지요. 신경망(Neural Net)은 퍼셉트론을 쌓아올려 알아서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입니다.
신경망의 구조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이미지 출처 : kdnuggets.com
단층 퍼셉트론의 수식을 다시 떠올려 보겠습니다. 아래는 2개의 입력값 $(x_1, x_2)$을 받는 퍼셉트론을 수식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w_1, w_2)$는 각 입력값에 곱해지는 가중치이며 $b$ 는 편향(bias)입니다.
\[y = \begin{cases} 0 \qquad (b + w_1x_1 + w_2x_2 \leq 0) \\ 1 \qquad (b + w_1x_1 + w_2x_2 > 0) \end{cases}\]위 식을 퍼셉트론의 결과를 나타내는 함수 $h(x)$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y = h(b + w_1x_1 + w_2x_2) \\ h(x) = \begin{cases} 0 \qquad (x \leq 0) \\ 1 \qquad (x > 0) \end{cases}\]여기서 $h(x)$는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라고 합니다. 활성화 함수는 가중치가 곱해진 신호의 총합이 활성화를 일으키는지, 즉 임곗값을 넘는지를 판단하게 됩니다. 임계값을 넘으면 $1$ 을, 그보다 작으면 $0$ 을 나타내게 되지요. 아래는 이 과정을 나타낸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 i2tutorials.com
Activation Function
그렇다면 활성화 함수는 어떤 것들이 있고 왜 이렇게 생기게 되었는 지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Step Function
활성화 함수는 신경망의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활성화 함수는 계단 함수(Step function)라고 합니다. 계단 함수는 위에서 살펴본 $h(x)$ 와 같이 행동합니다. 입력값의 합이 임계값을 넘으면 $0$ 을, 넘지 못하면 $1$ 을 출력하게 됩니다. 이에 따른 계단 함수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생겼습니다.
이미지 출처 : wikipedia - Heaviside step function
계단 함수는 활성화 함수의 조건을 가장 잘 만족하는 함수이고 직관적으로도 이해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두 가지 단점 때문에 실제 신경망에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첫 번째 단점은 불연속(Discontinuous)입니다.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 임계값 지점에서 불연속점을 갖게 되는데 이 점에서 미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학습이 필요한 신경망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두 번째 단점은 다른 지점에서 미분값이 $0$이 된다는 점입니다. 추후 역전파 과정에서 미분값을 통해 학습을 하게 되는데 이 값이 0이 되어버리면 제대로 된 학습이 안되지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등장한 것이 시그모이드 함수(Sigmoid)입니다.
Sigmoid Function
시그모이드 함수는 기본적으로 $S$ 모양을 그리는 곡선 함수를 통칭하여 부르는 말입니다. 이 중 대표적인 함수는 로지스틱(Logistic) 함수와 하이퍼탄젠트(Hyper tangent, $\tanh$) 함수가 있습니다. 두 함수의 수식과 그래프를 보며 시그모이드 함수와 계단 함수가 다른 점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로지스틱 함수(Logistic Function)
\[\text{Logistic} : \frac{1}{1+e^{-x}}\]이미지 출처 : wikipedia - Logistic function
하이퍼탄젠트 함수(Hypertangent Function)
\[\text{Hypertangent} : \frac{e^x-e^{-x}}{e^x+e^{-x}} = \frac{e^{2x}-1}{e^{2x}+1}\]이미지 출처 : mathworld.wolfram.com
두 함수는 모두 연속함수입니다. 계단 함수의 치명적인 단점이었던 불연속을 해결했지요. 계단 함수와 시그모이드 함수의 중요한 공통점은 비선형 함수(Non-linear)라는 점입니다.
활성화 함수는 비선형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활성화 함수가 선형 함수이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선형인 활성화 함수 $l(x) = ax + b$ 가 있다고 해보겠습니다. 이 함수를 사용하여 3개의 층을 쌓는다면 최종적인 활성화 함수는 $l(l(l(x))) = l^3(x) = a(a(ax+b)+b)+b = a^3x+a^2b+ab+b$가 됩니다. $a^3 = c, d = a^2b+ab+b$라고 하면 $l^3(x) = cx+d$로 여전히 같은 형태의 함수를 사용하게 됩니다. 층을 아무리 깊게 쌓아도 여러 층을 쌓는 이점을 살리지 못하게 되지요. 여러 층을 쌓을 때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지요.
ReLU Function
시그모이드 함수는 불연속이라는 계단 함수의 한 가지 단점을 해결했습니다. 하지만 나머지 단점 하나는 해결하지 못했습니다. 시그모이드도 여전히 대부분의 점에서 기울기 값이 0이 되지요. 이 때문에 기울기 소실(Gradient vanishing)이라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기울기 소실은 시그모이드 함수를 활성화 함수로 사용하여 층을 깊게 쌓았을 때 학습이 잘 되지 않는 현상입니다. 이런 현상이 왜 발생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로지스틱 함수 $L(x)$를 미분한 함수 $L^\prime(x)$ 의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L^\prime(x) = \bigg(\frac{1}{1+e^{-x}}\bigg)^\prime = \frac{e^x}{(1+e^{-x})^2}\]위 함수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 최댓값이 $0.25$ 밖에 되지 않고 $x<-5, x>5$ 범위에서는 거의 $0$ 에 가깝습니다. 역전파(Back propagation) 과정에서는 미분값을 사용하여 학습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값이 0에 가까워 지면 정보가 유실되면서 학습이 잘 안되게 됩니다. 특히 층을 깊게 쌓을 경우에는 정보가 모두 유실되는 사태가 발생하게 되지요.
그렇다면 하이퍼탄젠트 함수는 어떻게 될까요? 하이퍼탄젠트 함수 $\tanh$를 미분한 함수의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anh^\prime(x) = \bigg(\frac{e^x-e^{-x}}{e^x+e^{-x}}\bigg)^\prime = \frac{4e^{2x}}{(1+e^{2x})^2}\]위 함수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하이퍼탄젠트 함수를 미분한 함수의 최댓값은 $1$ 입니다. 최댓값이 $0.25$ 밖에 안되었던 로지스틱 함수 보다는 정보를 잘 전달하게 되지요. 하지만 여전히 $x$ 가 0에서 멀어질수록 원래 함수의 미분값은 0에 가까워집니다. 그래서 하이퍼탄젠트 함수를 활성화 함수로 하더라도 퍼셉트론을 여러 층으로 쌓는다면 학습이 제대로 안되게 되지요. 이렇게 시그모이드 함수를 활성화 함수로 사용할 때 역전파시 학습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현상을 기울기 소실이라고 합니다.
기울기 소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등장한 함수가 바로 ReLU(Rectified Linear Unit)함수입니다. ReLU함수는 입력값이 0보다 작을 경우에는 0을 반환하고, 0보다 클 경우에는 입력값을 그대로 반환합니다. 아래는 ReLU함수를 수식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h(x) = \begin{cases} 0 \qquad (x \leq 0) \\ x \qquad (x > 0) \end{cases}\)
아래는 ReLU함수의 그래프를 나타낸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 medium.com
ReLU함수는 $x$ 가 $0$ 보다 클 때, 미분값이 항상 $1$ 입니다. 그래서 층이 아무리 깊어져도 손실없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미분값이 항상 $0$과 $1$ 이기 때문에 연산이 빠르다는 점도 ReLU함수의 장점입니다. 덕분에 ReLU함수는 은닉층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활성화 함수가 되었습니다. 물론 ReLU함수에게도 문제가 있습니다. 0이하의 값이 그대로 보존되지 않고 버려진다는 것이지요. 이를 보완하기 위해 Leaky ReLU함수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Leaky ReLU 함수 $h_\text{Leaky}(x)$의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h_\text{Leaky}(x) = \begin{cases} ax \qquad (x \leq 0) \\ x \qquad (x > 0) \end{cases}\]일반적으로는 $a=0.01$을 사용하며 그래프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미지 출처 : medium.com
Softmax
은닉층(Hidden Layer)의 활성화 함수로는 일반적으로 ReLU함수 혹은 Leaky ReLU와 같은 ReLU함수를 변형한 함수가 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출력층의 활성화 함수는 우리가 하고자 하는 작업에 맞게 조정해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회귀( Regression), 즉 연속형 변수에 대한 예측값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출력층의 활성화 함수로 항등함수 $h_\text{reg}(x) = x$ 를 사용합니다.
이진 분류의 경우에는 입력값을 받아 $0$ 혹은 $1$ 의 값을 출력하는 것이므로 주로 로지스틱 함수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인스턴스를 다중 레이블로 분류하는 경우에는 어떤 활성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이런 질문에 대한 답으로 나온 것이 바로 소프트맥스(Softmax) 함수입니다. 소프트맥스 함수는 이진 분류에서 사용하는 로지스틱 함수를 다중 분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화한 함수입니다. 소프트맥스의 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y_k = \frac{\exp(a_k)}{\sum^n_{i=1}\exp(a_i)}\]소프트맥스도 함수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소프트맥스 함수가 지수함수이기 때문에 $a$ 값이 커지게 되면 $\exp(a)$ 값이 매우 커지게 됩니다. __int32
가 최대로 나타낼 수 있는 숫자는 $2,147,483,647$ 인데 $a = 22$ 만 되더라도 표현할 수 있는 값 이상이 되어 오버플로(Overflow)현상이 발생합니다. 또한 부동소수점 표기 특성상, 작은 숫자를 큰 값으로 나누면 수치가 불안정해지는 문제 역시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제로 소프트맥스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수 $C$를 곱해주어 스케일을 조정해주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실제로 구현되어 있는 소프트맥스 함수의 수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begin{aligned} y_k &= \frac{\exp(a_k)}{\sum^n_{i=1}\exp(a_i)} = \frac{C\exp(a_k)}{C\sum^n_{i=1}\exp(a_i)} \\ &= \frac{\exp(a_k +\log C)}{\sum^n_{i=1}\exp(a_i + \log C)} \\ &= \frac{\exp(a_k +C^\prime)}{\sum^n_{i=1}\exp(a_i + C^\prime)} \end{aligned}\]위 식에서 $C^\prime = \log C$로, $C^\prime$에는 0보다 작은 값이면 어떤 값을 대입하든 상관 없지만 오버플로를 막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a_i {i=1, \cdots ,n}$ 중 가장 큰 값에 $-1$ 을 곱해준 값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a_i = [1000, 1050, 1100]$이면 $C^\prime = -1100$ 이 됩니다.
소프트맥스 함수의 출력값은 항상 $[0,1]$ 범위 내에 있으며 모든 출력값을 더한 값이 1이 된다는, 즉 $\sum^n_{i=1}y_i = 1$ 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런 성질 덕분에 소프트맥스의 출력값을 확률(Probability)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중 레이블에 대한 확률이 필요한 경우 소프트맥스 함수를 사용합니다.
Comments